이클립스 없이 Tomcat으로 war 파일 프로젝트 실행하기
1. 프로젝트 war 파일 생성 및 저장
배포할 프로젝트 마우스 우클릭 후 Export 선택
WAR 파일 검색 후 Next
Browse 클릭 후 war 파일이 저장되어야 할 경로를 선택해주어야 하는데,
경로는 반드시 Tomcat 설치된 경로에서 webapps 폴더 내에 저장해 주기!
(예시) D:\Project\apache-tomcat-7.0.82\webapps 경로 지정후 Finish를 눌러주면
해당 경로에 프로젝트명. war 파일이 생성되어 있다.
2. server.xml 파일 수정
수정해야 하는 server.xml 파일의 위치는 conf 파일 내에 있다.
(예시) D:\Project \apache-tomcat-7.0.82\conf
** 반드시 원본 복사해 두고 수정하기!
Context path 추가
<Host name="localhost" appBase="webapps" unpackWARs="true" autoDeploy="true">
<Context path="" docBase="ohgoon2" reloadable="true" />
<!-- 이하 생략 -->
</Host>
<Host> 태그 내부에 <Context path="" docBase="ohgoon2" reloadable="true" />를 추가해 줬다.
docBase 내에는 war 파일 명 작성
포트번호 변경
사용하는 포트번호가 8080이 아니어서 따로 변경해 주었다.
conf 파일 내에 'port' 검색해서 나오는 부분 (2군데) 수정
<Connector port="6060" protocol="HTTP/1.1" connectionTimeout="20000" redirectPort="6005" />
<Connector port="6009" protocol="AJP/1.3" redirectPort="6005" />
3. Tomcat 및 프로젝트 실행
CMD (관리자권한) 실행
톰캣 내의 bin 폴더로 이동
(예시) D:\Project \apache-tomcat-7.0.82\bin 폴더 경로로 이동 후
startup.bat
입력하면 Tomcat 창이 새로 켜지며 실행된다.
실행하니까 ohgoon2.war 파일이 새로 생겼다.
4. 실행 확인
주소창에 http://localhost:포트번호입력 후 프로젝트가 실행되면 성공
context path가 제대로 인식이 안 될 경우 http://localhost:포트번호/프로젝트명 으로 실행이 될 수도 있다.
context path="/"
로 되어있는지 확인해보기
context path=""
공백으로 되어있어야 했다.
수정 후 apache 재 시작 하면 정상적으로 프로젝트 실행 완료
2024.02.26 - [CODING/Tomcat] - [Tomcat] 윈도우 재부팅 시 톰캣 자동 실행시키기
'CODING > 🐱Tomca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omcat] 윈도우 재부팅 시 톰캣 자동 실행시키기 (1) | 2024.02.27 |
---|---|
[Tomcat] 도메인과 프로젝트(포트번호) 연결하기 (0) | 2023.12.12 |
[Tomcat] 윈도우에서 톰캣 서버 구동하기 (0) | 2023.11.13 |
[Apache] 아파치 서버 재시작 하기 (0) | 2023.08.07 |